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BA%A0%ED%8D%BC%EC%8A%A4
최신순
조회순
KAIST,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어바인 소재)와 협력 협정 체결
강성모 총장(좌)과 마이클 드레이크(우)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총장이 협정서를 들어보이며 서로 악수하고 있다. KAIST는 4월 6일(토)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와 학생 및 교원 교류를 위한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를 통해 양 대학은 향후 교직원 및 학생 교류와 공동연구를 추진하게 됐다. 어바인 캠퍼스는 로스엔젤레스 캠퍼스(UCLA)에 이어 KAIST와 교류 협정을 맺은 두 번째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가 됐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는 1965년에 설립되었으며 예술대학, 생물과학대학, 공과대학, 인문대학 등 모두 13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있는 명문 공립대학이다. 이날 협정식에는 강성모 총장 외 마이클 드레이크(Michael V. Drake)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총장 및 재미교포 정치인 강석희 전 어바인(Irvine)시장이 참석했다.
2013.04.11
조회수 11577
S+ 컨버전스 최고경영자과정 5기 모집
"신기술시연회, 산업시찰, 워크숍, 해외연수, SNS운용법 숙달 위한 0교시 강좌 운영, 스마트폰 실시간 강의..." KAIST가 CEO 및 관료 등을 대상으로 개설한 "KAIST S+ 컨버전스 최고경영자과정(AMP)" 이 주목을 끌고 있다 기존 재무관리나 경영노하우 등 심각한 주제만 다루는 경영자 대상 교육 과정에서 탈피해 스마트 신기술과 보안을 경영에 점목시켜 경영 창조 IT 리더십 조직관리 건강 등 차별화된 교육 과정을 운영해 CEO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 책임교수인 주대준 KAIST부총장은 "국내외 최고 강사진 구성, 시대를 앞서가는 선제적 교육과정, 컨버전스 원우 구성 등으로 인맥 쌓기는 물론 전문지식까지 얻으려는 최고경영자들의 관심이 많다"며 "개설 2년 만에 기존 과정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켰다는 평가를 받고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은 슈퍼스타급 최고경영인을 배출하는 것이 목표다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정부 부처 고위공직자 33명, 국회의원 5명, 군장성 6명, 기업체 임원 113명 등 총 239명이 이 과정을 거쳤다 또한 이번 4기 수료에서는 71명에 정부부처 관료 및 기업경영인들이 수료하여 KAIST S+ Convergence AMP과정에 기염을 토해냈다 특히 배우자 프로그램을 운용해 부부가 함께 공부하고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참여도가 높다고 한다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어윤대 KB금융그룹 회장, 이석채 KT회장, 이상철 엘지유플러스 부회장, 공병호 경영연구소장 등이 강사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5기 원우모집 막바지에 있으며, 정규수업은 매주 월요일 KAIST 서울 도곡동캠퍼스 강의실에서 오후 6시30분부터 9시40분까지 90분 강좌 2개를 운용한다. 월 1회 정치, 경제, 문화 및 외교안보. 통일 분야 명사를 초청하는 특강 및 만찬자리를 마련한다. 학사시간 중 4회에 걸처 워크숍도 열린다.
2012.08.21
조회수 9899
KAIST 무선충전전기자동차, 미국에서 달린다!
우리 학교가 2009년부터 개발한 무선충전전기자동차(OLEV)가 미국 텍사스 주 매캘런 시 시내버스 노선 중 20마일(약 32.12km)구간에 상용화 설치된다는 내용의 기사가 21일자 동아일보에 크게 실렸다. OLEV는 그동안 KAIST ICC캠퍼스와 서울대공원에서 시험용으로만 운행해왔으며 상용화는 처음이다. 다음은 기사 링크 : KAIST 온라인전기車 美도시 달린다
2011.11.21
조회수 15744
무인대여자전거 '타슈' KAIST 입성
- 행정안전부와 대전시 지원으로 9월 7일 개통 -- 대학생 자전거 이용 문화 활성화에 기여 - 전국 최초로 지자체의 공공자전거 시스템과 연계한 ‘대학교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이 KAIST에 등장한다. 우리 학교는 행정안전부와 대전시의 지원을 받아 대전 본원 캠퍼스 내에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7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KAIST 학생들은 캠퍼스 내 자전거 스테이션 3곳에 비치된 50대의 공공 자전거를 무인 대여시스템으로 빌려 교내 캠퍼스는 물론 대전 시내에서도 자유롭게 이용하고 반납할 수 있다. ‘대학교 공공자전거 무인대여 시스템’ 은 행정안전부가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평소 자전거 타기 생활화를 통한 이용자 저변확대를 위해 전국 각 대학으로부터 신청을 받아 지원하는 사업이다. 행정안전부는 KAIST를 포함, 건국대, 계명대, 광주여대, 부경대, 전북대, 한양대(안산캠퍼스) 등 주변 교통여건이 양호하고 시스템의 도입의지가 강한 7개 대학을 최종 선정한 바 있다. KAIST는 행정안전부로부터 1억 원을 지원받아 50대 규모의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구축하는 한편 대전시로부터는 통합관제, 자전거 수리 및 재배치시스템 등을 지원받아 대학 자체구축 시스템의 가장 큰 고민거리인 유지관리 문제를 해결했다. 특히 KAIST가 구축한 ‘대학교 공공자전거 무인대여 시스템’은 행안부가 1차로 선정한 7개 대학 중 유일하게 지자체인 대전시가 운영 중인 시민 공용자전거인 ‘타슈’와 연계돼 있어 캠퍼스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대여와 반납이 가능한 게 큰 특징이다. 갑천변을 따라 조성된 대전시의 자전거 도로망 활용은 물론 인근 대중교통과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많은 학생들이 자전거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AIST 서용석 시설관리부장은 “우리학교의 공공자전거 시스템은 타 대학의 공공자전거 시스템에 비해 대중교통(버스환승정류장, 지하철 역 등)은 물론 시내권, 공공기관 등과 연계되는 생활교통형의 기능이 추가된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서 부장은 또 “정부와 지자체, 대학의 긍정적이고도 적극적인 추진의지가 성공적인 시스템구축을 이룰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으며 이번 시범사업의 성과가 타 대학으로 확산되는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끝> <사진설명>KAIST가 7일부터 대전 캠퍼스는 물론 대전 시내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자전거를 이용하고 반납이 가능한 ‘대학교 공공자전거 무인대여 시스템’ 운영에 들어간다. 사진은 KAIST가 대전 본원의 교내 캠퍼스에 구축한 자전거 스테이션.
2011.09.06
조회수 14288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3년 연속 최다 수상
우리학교가 특허청에서 실시한 "2010 캠퍼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최고 성적을 올리고 지난 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시상식을 가졌다. 2008년 이후 올해 세 번째로 열리는 캠퍼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에서 선행기술조사 부문 6명과 특허전략수립 부문 8팀이 수상해 우리 대학이 3년 연속 최다 수상 대학상을 받아 화제다. 이번 대회 특허전략수립 부문에는 생명화학공학과 임지나·서정윤팀이 최고상인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 선행기술조사 부문에서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명권씨가 이 부문 최고상인 지경부 장관상을 받았다. 지도 교수상에는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상 수상팀을 지도한 박승빈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수상했다.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상을 받은 임지나씨는 "미래 에너지기술은 신재생에너지와 전기 배터리의 융합으로 갈 것이기에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한 특허를 전략적으로 확보, 경쟁국보다 먼저 특허를 선점해야 한다"면서 "리튬 이차전지는 녹색성장과 관련해서 반드시 더 연구하고, 개발돼야 하는 에너지 저장매체"라고 말했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는 기업이 필요한 특허에 강한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대학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기업이 문제출제·심사, 상금을 후원, 대학생이 지도교수와 함께 미래특허획득 전략을 제시하는 산·학협력 인력양성 프로그램이다. 이 대회는 가상의 출원서에 대한 선행기술 조사 후 특허가능성을 판단하는 선행기술조사부문과 국내·외 특허를 분석하고, 연구개발 전략·특허획득 방향을 수립하는 특허전략수립부문으로 나뉘어 치뤄졌다.
2010.12.06
조회수 15729
정재민교수, 한국신문협회 자문위원에
우리학교 경영대학(서울캠퍼스)의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에 근무중인 정재민 교수가 7월 5일 한국신문협회의 제5기 정책기획 자문위원에 위촉됐다.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위촉장 수여식에서는 총 7명이 자문위원이 됐으며 임기는 2012년 6월까지이다. 역할은 미디어관련 법제와 신문광고 활성화, 뉴스콘텐츠 가치제고 방안 등 한국신문협회가 추진하는 정책수립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날 위촉된 자문위원은 정진석(한국외대 명예교수) 위원장, 문재완(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부원장), 강신철(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 김영욱(한국언론진흥재단 수석연구위원), 김택환(중앙일보 멀티미디어랩 소장), 박현수(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등 7명이다. 한편 2009년 우리학교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조교수로 부임한 정재민은 불교TV 프로듀서(1995~95), 디지틀조선일보 기자(1996~98), West Florida 대학 교수(2003~05),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2005~09) 등을 역임한 바 있다.
2010.07.05
조회수 12433
KAIST에서 전기차 미래 봤다!
리 교수 "KAIST서 전기차 미래 봤다" 지난 19일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열린 IT융합 국제워크샵에 참석한 UC버클리대학 특훈교수 에드워드 리 교수는 전자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기사 리 교수 "KAIST서 전기차 미래 봤다" 일시 2010.2.19(금) 온라인판 신문 2010.2.22(월) 전자신문 24면 피플면 게재 매체 전자신문 기자 박희범 기자(hbpark@etnews.co.kr)
2010.02.20
조회수 15887
세계평화 기원 국제 텔레매틱 음악공연 개최
세계평화 기원 국제 텔레매틱 음악공연 ‘ResoNations' 개최 - 뉴욕 UN본부와 서울 등 전 세계 5개 도시서 동시공연 및 초고속 통신망 통해 실시간 중계 - 연주음향을 실시간 시각화하는 기술도 첫 선봬 - KAIST, 동국대, 캘리포니아주립대 등 국내외 대학 및 UN산하기관 공동 주관 우리나라 서울을 비롯, 미국 뉴욕(New York)과 샌디에고(San Diego), 캐나다의 밴프(Banff),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Belfast) 등 전 세계 5개 도시의 음악인들이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로 소통하면서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초대형 ‘텔레매틱 음악공연(Telematic Concert)’이 21일 열린다. 이 공연은 특히 세계평화를 위해 활동하는 국제연합(UN)산하의 대표적인 비정부기구(NGO)인 와푸니프(WAFUNIF: The World Association of Former United Nations Interns and Fellows)가 주관하는 ‘Innovations Talks Symposium"과 함께 뉴욕 UN본부에서도 동시에 열려 그 의미가 한층 더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대학 문화기술대학원(원장 원광연)과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원장 엄기현)이 UN 산하기관 및 해외 유명대학들과 함께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음악을 연주하는 텔레매틱 음악공연인 ‘레조네이션스(ResoNations)’를 오는 21일 오전 9시 30분부터 동국대 이해랑 예술극장에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두 대학 외에도 유엔(UN) 산하 국제 비정부기구(NGO)인 와푸니프(WAFUNIF)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디에고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캐나다의 대표적 예술기관인 밴프 센터(Banff Centre), 북아일랜드 벨파스트(Belfast)의 퀸즈대(Queen’s University Belfast)가 주관기관으로 공동 참여한다. ‘텔레매틱 음악공연(Telematic Concert)’이란 지리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음악인들이 공간적인 제한을 딛고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로의 공연영상과 음향을 실시간으로 보고 들으면서 함께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개 도시의 연주자들은 이 같은 교감과 소통을 통해 마치 한 장소에 모여 음악을 연주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을 감상하는 청중들 또한 해당지역의 연주는 물론 다른 지역의 공연까지도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다는 게 텔레매틱 공연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공연 제목을 ‘레조네이션스’로 정한 것은 서로 다른 여러 나라의 관객과 연주자들이 음악을 통해 함께 공명(共鳴)하며 한 마음으로 세계 평화를 기원하자는 의미에서다. 국내와 해외를 초고속 통신망으로 연결해 생중계하는 텔레매틱 음악공연 중 역대 최대규모로 꼽히는 이번 공연에서는 미 스탠포드대 컴퓨터음악연구소장인 크리스 체이프(Chris Chafe) 교수와 마크 드레서(Mark Dresser)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 미국의 신예 실험음악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사라 위버(Sarah Weaver), 페드로 레벨로(Pedro Rebelo)퀸즈대 음향예술연구소장, 그리고 김준 동국대 교수가 만든 4곡이 연주된다. 특히 각 지역별로 6~8명씩, 모두 31명의 연주자가 출연하는 이번 공연에는 로버트 딕(Robert Dick, 플룻), 조안 라 바바라(Joan La Barbara, 성악), 제인 아이라 블룸(Jane Ira Bloom, 색소폰), 마티 얼리히(Marty Ehrlich, 목관악기)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현대음악과 재즈 연주자들이 대거 포함됐다. 서울에서는 정통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넘나들며 현악 사중주의 개념을 새롭게 개척해 온 콰르텟 엑스(Quartet X, http://quartet-x.com/)와 최근 주목을 끄는 신예 색소폰 연주자 홍의식, 그리고 서울대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전통 및 현대음악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 오고 있는 해금연주자 이승희가 출연한다. 서울공연에서는 특히 청중들에게 음악연주에 따라 실시간으로 영상이 바뀌는 이색적인 음악적 경험도 동시 제공하는데 연주음향을 실시간 영상으로 변환하는 작업은 여운승 KAIST 교수가 맡는다. 이밖에 악기로는 인도 전통악기인 타블라(뉴욕)와 함께 전자 바이올린 및 첼로(밴프),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악기(벨파스트), 한국의 전통악기인 해금 등이 선보인다. 공연은 서울 등 5개 도시에서 동시에 열리게 되나, 시차로 인해 샌디에고는 11월 20일 오후 4시 30분, 캐나다 밴프와 뉴욕은 각각 같은 날 오후 5시 30분과 오후 7시 30분에 열리는 반면 벨파스트와 서울은 21일 새벽 0시 30분과 오전 9시 30분에 시작된다. 샌디에고와 벨파스트에서는 연주자만 참여하는 반면, 뉴욕 UN본부, 밴프 센터, 그리고 서울에서 열리는 공연에는 일반인들의 참관이 가능하다. 한국과학창의재단 및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공연은 입장료가 10,000원이며 수익금 전액은 유네스코(UNESCO) 한국 위원회에 기부된다. 이 공연의 기술 및 진행을 맡은 여운승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세계 5개 도시를 초고속 통신망으로 연결,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전송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공연음악을 시각적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통해 더욱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동국대 영상대학원 김준 교수도 “공간적 한계를 넘어선 실시간 예술표현이란, 예술가에게 있어 꿈이라 할 수 있다”며 “이번 공연은 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해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예술적 교감을 이룬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인 연주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연 홈페이지 (http://resonations.kaist.ac.kr) 참조.(끝).
2009.11.16
조회수 19247
KAIST 서남표 총장, CNN 생방송 출연
- KAIST의 국가 녹색성장 프로젝트인 온라인전기차 CNN 생방송 소개 서남표 총장이 21일 오전 CNN ‘아이 온 사우스 코리아(Eye on South Korea)" 프로그램 생방송에 출연해 KAIST를 소개했다. 이번 CNN의 현장중계는 한국의 IT발전에서 KAIST가 기여한 점과 녹색성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KAIST의 역할을 높이 평가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날 CNN 간판 앵커 스타우트(Kristie Lu Stout)가 방한해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생방송을 진행했다. 서총장은 이번 방송에서 국가프로젝트인 온라인전기차(On-Line Electric Vehicle, OLEV)를 소개했다. 서총장은 CNN 간판 앵커 스타우트(Kristie Lu Stout)와의 인터뷰에서 "전 세계 많은 곳에서 다음 세대의 자동차로 전기차를 개발하고 있지만 대부분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배터리식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것이 인류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특집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전기버스, 전기 승용차와 인간형 로봇인 휴보(HUBO)가 전 세계에 소개됐다. 이번 CNN 한국특집 프로그램은 한국의 경제회복을 초점에 맞춰 19일부터 23일까지 매일 1시간30분 이상 CNN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24시간 방영된다. CNN은 21일 오전 8시부터 9시30분까지 KAIST 캠퍼스 현장을 중계 방송했다.
2009.10.21
조회수 15424
서남표 총장, CNN 생방송 출연
- KAIST의 국가 녹색성장 프로젝트인 온라인전기차와 모바일하버 소개 서남표 총장이 오는 21일 CNN ‘아이 온 사우스 코리아(Eye on South Korea)" 프로그램 생방송에 출연해 KAIST를 소개한다. CNN은 이날 오전 8시부터 9시30분까지 KAIST 캠퍼스 현장을 중계 방송한다. 서총장은 이번 방송에서 국가프로젝트인 온라인전기차(On-Line Electric Vehicle, OLEV)와 모바일하버(Mobile Harbor)등 KAIST의 녹색성장 프로젝트를 이야기 한다. 또한 이 특집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전기버스와 인간형 로봇인 휴보(HUBO)가 전 세계에 소개 될 예정이다. 우리대학 관계자는 “이번 CNN의 현장중계는 한국의 IT발전에서 KAIST가 기여한 점과 녹색성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KAIST의 역할을 높이 평가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CNN 한국특집 프로그램은 한국의 경제회복을 초점에 맞춰 19일부터 23일까지 매일 1시간30분 이상 CNN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24시간 방영된다. 이날 CNN 간판 앵커 스타우트(Kristie Lu Stout)가 방한해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생방송을 진행한다.
2009.10.20
조회수 9060
온라인 전기자동차 개발에 민간기업 큰 관심
- 관련 기술개발에 16개 기업에서 적극적인 참여의사 밝혀 우리대학 온라인 전기자동차 사업이 민간기업의 큰 관심을 사고 있다. 온라인전기자동차 사업단(단장 조동호 교수)은 지난 9월 1일 국내 기업 20개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관련사업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사업설명회를 문지캠퍼스에서 가졌다. 그 결과로 16개 업체가 컨소시엄 참여의향서를 접수했다. 대표적 기업은 전장품 분야의 현대중공업과 LS산전, 전선분야의 LS전선, 버스분야의 대우버스(주), (주)한국화이바, 운행 및 운영분야의 KT 등이다.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관심표명에 따라, KAIST는 온라인전기자동차 개발에 필요한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관련기업의 기술 및 자본과의 적극적인 상호교류와 투자를 통해 국책사업인 온라인전기자동차의 원천기술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 배터리 및 충전문제를 비롯한 전기자동차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대한민국의 융합신산업을 창출하고 세계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온라인전기자동차(OLEV)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부시행정부 시절의 수소관련연구에서, 오바마 행정부로 바뀌면서 전기차 분야와 배터리 연구로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기조가 바뀌었다. 일본에서도 전기차 연구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연구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온라인전기자동차 개발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경우, 우리나라가 급집전 플랫폼/ 동력관리 플랫폼 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미래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전기자동차(OLEV)는 정차 및 주행 중에 도로에 매설된 전력선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구동에너지로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신개념의 전기자동차로써 전기자동차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이다. 온라인전기자동차(OLEV) 연구팀은 도로 표면과의 충분한 이격거리에서 실용화수준의 효율성 확보, 전자파 안전성 보장, 운행 중 좌우 위치 오차 극복 등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국제적으로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이미 2009년에 서울시와 제주도에서 온라인전기버스 시험사업을 진행할 예정이고 2010년에는 서울시의 특정버스 노선에 온라인 전기버스를 시범 투입하기로 결정하여 본격적인 온라인 전기버스의 대중교통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2009.10.12
조회수 16377
부품소재 CEO 과정 및 ITTP 과정 졸업생, KAIST-ICC 발전을 위한 발전기금 기부
(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와의 통합으로 새롭게 탄생한 IT융합캠퍼스인 KAIST ICC(IT Convergence Campus)의 특별교육과정 학생들이 KAIST ICC가 세계 최고의 대학으로 발전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발전기금을 기부하여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 8월 20일(목)에는 서울 도곡동캠퍼스에서 제5기 부품소재 CEO 과정(책임교수: 이의훈) 졸업생 48명이 10,000,000원을 기부했으며, 8월 21일(금)에는 대전 문지캠퍼스에서 제4기 글로벌IT전문가과정(ITTP, 책임교수: 노재정) 졸업생 6명이 60만원을 기부했다. 양일간의 행사에는 강민호 ICC 부총장을 비롯하여 특별교육과정생 및 교육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 행사에서 강민호 ICC 부총장은 "이러한 기부를 바탕으로 KAIST ICC가 Global IT 리더를 양성하고, IT기반 융합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감사의 뜻을 표하였다. ▶ 부품소재 CEO 과정 - 부품소재 CEO 과정의 교육목표는 우리나라 부품․소재 산업을 이끌어갈 글로벌 CEO를 양성하고, 국내외 제반여건변화와 21세기 부품·소재 기업 경영조류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은 경영전략 및 기업가 정신 R&D 생산관리, 마케팅, 재무회계, 정보화 등 부품·소재 기업에 특화된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친교 활동과 해외 연수프로그램을 준비하여 교육간 네트워크 구성과 해외 현장을 직접 체험토록 하고 있다. ▶ 글로벌 IT기술 전문가과정 (ITTP) - 글로벌 IT기술 전문가과정(ITTP)은 IT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신흥전략국가의 정보통신 공무원 및 IT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IT 기술 및 사업화 전략을 교육하여 Global IT기술 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하여, (구)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2006년 봄 학기 첫 문을 연 석/박사 학위과정이다. 과정 학생들은 교육기간 내 수업료, 체재비, 항공료 등의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며, 기존의 정규과정 외에 한국어, 한국 문화와 역사 등 ITTP만을 위한 특성화·차별화된 맞춤형 교육을 받게 된다. 또한 한국 기업에서의 인턴 프로그램 및 국내 IT 전문가들과의 세미나 과목 등을 통하여 한국의 IT 전문가들과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한국 IT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09.08.31
조회수 20761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