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인터뷰 및 칼럼

[서울경제] [ABF in Seoul]신성철 카이스트 총장 “산업혁신 골든타임 끝나기전 정책 결정 속도내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0.31 조회수1625

입력 : 2018-10-31 12:02
저작권자 ⓒ 서울경제( http://decenter.sedaily.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바로가기

[ABF in Seoul]신성철 카이스트 총장 “산업혁신 골든타임 끝나기전 정책 결정 속도내라”

31일 ‘fuze 2018’ 2일차 환영사 발표
“블록체인은 우리 삶을 변화시킬 가장 중요한 기술”
산업구조 전환의 조건 ‘혁신·협력·속도’ 제시

신성철 총장 사진

“산업구조를 혁신할 수 있는 황금 같은 기회가 펼쳐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장은 너무나 급격히 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더 빠르고 적절한 정책 결정을 해야만 합니다.”

신성철(사진)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 총장이 속도를 주문했다. 블록체인으로 대표되는 미래 기술을 성장 동력으로 삼을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는 절박함이다.

신 총장은 31일 신라호텔에서 열린 ‘ABF in Seoul 2018’의 메인 컨퍼런스 ‘fuze 2018’의 둘째 날 개막강연에서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을 표현하는 기술들이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은 우리에게 있어 크고 빠른 변화를 일궈내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4차 산업 혁명의 주요 기술 가운데 블록체인에 주목했다. 신 총장은 “블록체인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자 우리의 삶을 크게 변화시킬 기술”이라며 “초기에는 금융영역에 적용하는 데 한정됐지만 이제 보안이나 미디어 헬스케어 등 광범위한 영역에 블록체인이 적용되고 있다”고 했다. 신 총장은 “법제가 없다는 점이나 글로벌 표준 시스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많다”며 “그럼에도 중국, 미국 등은 블록체인을 집중 육성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분야로 육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블록체인 전략과 관련 혁신과 협력, 속도를 조건으로 제안했다. 이 가운데 신 총장이 가장 강조한 부분이 속도다. 신 총장은 “속도는 결국 산업이 실제 작동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거버넌스의 문제”라며 “지금 시장은 매우 급격하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블록체인과 4차 산업혁명은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고 산업계를 혁신할 수 있지만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더 빠르고 적절한 정책 구축에 나서야 한다”며 “그래야만 글로벌 마켓을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또 “대학과 기업의 주주, 연구기관, 정부 등 여러 주체들이 힘을 합치고 국가 간 글로벌 협동을 통해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풀고 도전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총장은 “네덜란드에 ‘태풍이 불 때 누군가는 벽을 세우고, 누군가는 풍차를 만든다’는 속담이 있다”며 “우리가 맞은 이 황금 같은 기회를 놓치지 않는 선택을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흥록 기자
rok@sedaily.com

콘텐츠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