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인터뷰 및 칼럼

[디지털타임스]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1.04 조회수1899

입력 : 2018-11-04 18:14
저작권자 ⓒ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바로가기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날카로운 분석·미래 시대 통찰
물리학계 대표하는 세계적 석학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신성철 KAIST 총장은 국내 물리학계를 대표하는 세계적 석학이다. 날카로운 분석력과 함께 다방면에 걸친 통섭형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 시대를 예측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경기고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신 총장은 KAIST에서 고체물리 석사를 받은 후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재료물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이스트만 코닥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1989년 KAIST 교수에 임용돼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소장, 부총장 등 주요 보직을 거쳐 KAIST 출신 첫 총장에 임명됐다.

특히 학문적 성과도 탁월해 나노자성학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나노자성체 스핀(물체가 자성의 특성을 가지는 원인) 동력학을 연구하는 '나노스핀닉스' 연구를 개척했으며, 자성학 분야의 오랜 난제인 2차원 나노 자성박막 잡음 현상을 처음으로 규명해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이 분야에서 310여 편의 논문 게재, 37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이같은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08년 자성학 분야 한국 과학자 최초로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정됐으며, 2016년 국내 과학자 중 처음으로 '아시아자성연합회(AUMS)상'을 수상했다.

교육현장에서도 탁월한 경영능력을 보여줘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을 역임하면서 융복합 연구중심 대학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특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겸임했고, 과학계에서는 달변가로 유명하다.

◇학 력

-1971년 경기고 졸업
-1975년 서울대 응용물리학과(학사)
-1977년 KAIST대학원 고체물리학과(석사)
-1984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물리학(박사)

 

◇경 력

-1977∼1980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1984∼1989년 미국 이스트만 코닥연구소 수석연구원
-1989∼2017년 KAIST 물리학과 교수, 석좌교수
-2001∼2003년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
-2002∼2008년 대덕클럽 회장
-2004∼2010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제협력부장
-2004∼2005년 KAIST 부총장
-2008∼ 현재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2011∼2012년 한국물리학회 회장
-2015∼2016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2011∼2017년 DGIST 초대 총장 및 2대 총장
-2017∼ 현재 KAIST 총장

 

◇상 훈

-과학기술훈장 창조장(1등급, 2007년)
-대한민국 학술원상(2009년)
-KAIST 총동문회 올해의 동문상(2011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2012년)
-아시아자성연합회(AUMS)상(2016년)
-한국물리학회 성봉물리학상(2017년)

이준기 기자
bongchu@dt.co.kr

콘텐츠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