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연설문

KAIST국가미래전략 고위과정 입학식 축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7.03.17 조회수2769

안녕하십니까? KAIST 총장 신성철 입니다.

국가미래전략 고위과정 입학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또한, 이렇게 훌륭한 과정을 위해 노력해주시는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이광형 원장님과 김성희 책임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과정의 명칭과 같이 우리나라는 미래전략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중차대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Fast-Follower 전략을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일구고, 2만불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리고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11년째 그 벽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선진국 사례를 보면 2만불에서 3만불 시대로 넘어가는 것이 보통 5년에서 길게는 10년 정도 소요되는데, 우리나라는 그보다 조금 늦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소득 3만불의 시대를 여는 것에 더해 4차 산업혁명의 거친 파고를 맞은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미래를 심도있게 고려해보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기를 맞이했습니다. 인류사회는 지난 250여 년 3차례의 산업혁명을 거쳤습니다. 지난 250년의 변화보다 향후 50년내 더 큰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대변혁을 직시하고 선제적으로 준비하며 대응하는 국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세계 중심국가가 될 것입니다. 이런 대변화로 인한 불확실한 시대에는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의 말처럼 “현재가 미래를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비전이 현재를 만들어 갑니다.” 그러므로 미래에 대한 비전과 전략을 가진 국가가 세계를 선도할 것이라 봅니다.

저는 취임사에서 KAIST의 새로운 비전과 5대 혁신전략을 제시하며, 미래전략을 강조한바 있습니다. 우선, “글로벌 가치창출 세계선도대학 (Global Value-Creative World-Leading University)”를 KAIST의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며, 어떤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수준(Global Standard)에 위치해야 그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학문, 기술, 경제 등의 분야에서 가치창출을 할 때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고, 세계를 선도해 나가야 합니다.

KAIST의 경우, 지난 1971년 설립 이후 국가와 국민이 부여한 미션을 충실히 수행하며 세계적인 대학(World-Class University)로 성장했습니다. 이제는 한단계 뛰어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대학(World-Leading University)이자, 세계 Top10 내 드는 대학으로 발돋움 하려고 합니다. QS, THE 등 세계대학평가에서 이미 세계적인 역량을 높이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조금만 더 노력하면 Top10에 진입할 것이라 확신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5대 혁신전략(교육, 연구, 기술사업화, 국제화, 미래전략) 중 미래전략 혁신의 방안으로 KAIST 설립 60년을 대비해서 ‘비전 2031 장기플랜’ 수립을 목표로 위원회를 가동할 예정이며, 학교와 국가발전을 위한 싱크탱크 그룹을 조직할 것입니다. 그동안의 사례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정권별로 장기발전전략을 수립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전략들은 급조되어 홍보용으로만 그치고 정권과 함께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국가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권과 무관한 싱크탱크 그룹에서 숙성된 전략을 수립하고, 이 미래전략이 장기적으로 집행되어야 합니다.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은 전세계 싱크탱크 그룹 약 2,600 여개 중 절반을 가지고 있고, 이 싱크탱크 그룹에서 수립한 미래전략들은 정권과 관계없이 지속성을 가지고 이행됩니다. 특히, 미국 한림원(National Academy)에 의해 국회에 제출된 미국경쟁력 강화보고서(American Competitiveness Initiative, ACI)에 의거 법이 제정되었고, 부쉬 정부에서부터 오바마 정부에 이르기까지 정권을 초월해서 지속성있게 전략이 수행되고 예산이 집행되며 국가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매우 유명한 민간단체 싱크탱크인 Information Technology & Innovation Foundation의 Robert D. Atkinson 회장에 따르면, 싱크탱크에서 미 대통령 후보에게 듣고 싶은 과학기술에 관한 정책들이나 미국이 과학기술이 해야 할 일 등에 대해 정권에 예속되지 않고 긴밀하게 조언하며, 우수한 정책들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KAIST도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정권에 예속되지 않는 싱크탱크 그룹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KAIST는 우리나라의 커다란 자산이자 자랑입니다. KAIST를 대표하는 최고의 교수진으로 구성된 본 교육과정에서 여러분은 양질의 강의를 듣게 될 것입니다. 또한,  카이스트의 브랜드 가치를 여러분도 함께 공유하게 되실 것입니다. KAIST의 높은 브랜드 가치는 여러분이 사회에서 활동하시면서 이미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KAIST 브랜드 가치가 더욱 빛날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본 과정을 통해 시대를 꿰뚫는 전략 마인드와 역량을 함양하시길 바랍니다. 15주간 즐겁게 공부하시며 다양한 분야의 인적 네트워킹도 함께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7. 3. 16.
KAIST 총장 신성철

 

콘텐츠담당 :